Liebowitz 사회불안 척도
Liebowitz 사회불안 척도(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LSAS; Liebowitz, 1987)는 사회공포증 평가를 위해 고안된 임상가 시행형 도구들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도구일 것이다. LSAS는 4점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11개의 사회적 상호작용 상황과 13개의 수행 상황에서의 두려움과 회피를 각각 평가한다. LSAS는 4개의 하위척도, 즉 수행에 대한 두려움, 수행의 회피,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 상호작용의 회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두려움 및 회피 하위척도들의 점수 총계도 구할 수 있다. 24개 문항 전체의 두려움 및 회피 평정치를 합하면 전체 총계가 산출된다. 두려움 평정치의 기준은 0=전혀 불안하지 않음, 1=약간 불안함(견딜 만함), 2=상당히 불안함(고통스러움), 3=매우 불안함(매우 고통스러움)이며, 회피 평정치의 기준은 0=전혀 회피하지 않음(0%), 1=가끔 회피함(1~33%), 2=자주 회피함(33~66%), 3=대개 회피함(67~100%)이다.
LSAS는 몇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LSAS는 임상가 시행형 도구의 하나로서 면담자가 환자에게 각 문항을 이해시키고 환자의 보고에서 발견되는 모순점들을 공략하며 임상적 경험과 판단으로부터 최종 평정을 이끌어 낼 수 있게 한다. 연구에 의하면 LSAS의 두려움 및 회피 하위척도들 모두가 임상표본들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Heimberg et al., 1999), 일부 환자들은 심한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회피를 거의 보이지 않는다. LSAS는 이러한 불일치를 파악하고 조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AS 총점과 하위척도 점수들은 우수한 내적 합치도를 보였다(Heimberg et al.,1999). 예상대로 총점과 하위척도 점수들은 사회불안과 회피에 관한 자기 보고형 측정법 및 기타 임상가 평정형 측정법들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eimberg et al., 1999).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두려움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회피 척도는 수행 또는 관찰 불안 측정법들보다 상호작용 불안 측정법들과 더 강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eimberg et al., 1992, 1999). 반대로, 수행에 대한 두려움과 수행의 회피 척도는 상호작용 불안 측정법들보다는 수행 및 관찰 공포에 관한 다른 측정법들과 더 강력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eimberg et al., 1992, 1999).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총점과 하위척도 점수 역시 우울증과 같은 다른 개념들에 관한 측정법들보다는 다른 사회불안 측정법들과 더 많은 관련이 있었다(Fresco et al., 2001;Heimberg et al., 1999). 수신자 조작 특성 분석을 이용하여 Mennin 등(2002)은 총점 30에서 사회공포증 환자를 변별하며, 총점 60에서 일반화된 사회공포증 환자를 변별한다고 결론 내렸다. 무엇보다도 LSAS는 약물치료와 행동치료 모두에서 치료 후 변화에 대한 민감성을 보였다(Heimberg et al., 1998)
최근 연구에 따르면 LSAS는 자기 보고형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고 한다. 평균 13의 간격을 두고 LSAS를 2회-1회는 임상가 시행형으로, 나머지 1회는 자기보고형 측정법으로-실시했을 때 사회공포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모두에서 두 형식 간의 총점, 하위척도 평균치 및 표준편차가 매우 유사하였다(Fresco et al., 2001). 나아가 자기 보고형 LSAS는 임상가 시행형과 일치하는 우수한 내적 합치도와 수렴 타당도 및 판별 타당도를 보였다. 그러나 이 같은 결과는 환자들에 자기 보고형 LSAS의 평정에 관해 자세한 교육을 실시했을 경우에 국한된다. 우리가 자기 보고형 LSAS와 함께 실시한 교육은 다음과 같다.
1. 이 측정법은 여러 상황에서 사회공포증이 당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방식을 평가합니다.
2. 각 상황을 주의 깊게 읽고 나서 그 상황에서 관한 두 질문에 답합니다.
3. 첫 번째 질문은 그 상황에서 당신이 얼마나 불안 또는 두려움을 느끼는지 묻습니다.
4. 두 번째 질문은 당신이 얼마나 자주 그 상황을 회피하는지 묻습니다.
5. 만약 당신이 평소에 경험해 보지 않은 상황이라면 그 상황에 처하면 어떻게 될지 상상해 봅니다. 그러고 나서 그 상황을 얼마나 두려워하게 될지 그리고 얼마나 자주 회피하게 될지 평정합니다. 평정치는 지난 주에 다른 상황들이 당신에게 영향을 미친 방식에 근거합니다.
LSAS에 관해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으며 이것은 SPS에도 적용된다. 사회공포증 환자로 구성된 대표본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된 LSAS의 확증요인 분석에서 2-요소 모델(즉 사회적 상호작용과 수행)은 두려움과 회피에 대한 평정들 중 어떤 것도 지지하지 못하였다(Safren et al., 1999). 두려움 및 회피 문항들에 대한 분리된 탐색적 공동요인 분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4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1) 사회적 상호작용, (2) 대중연설, (3) 다른 사람들에 의한 관찰, (4) 사람들 앞에서 머거나 마시기. SIAS와 같이 LSAS의 상호적 상호작용에 대한 불안 및 회피 하위척도들은 단일 요인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SPS와 같이 LSAS의 수행 불안 및 회피 하위척도들은 다중 요인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이들 하위척도 점수들을 사용할 때는 적절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출처 : [사회공포증의 인지행동집단치료] 리처드 G.하임버그, 로버트 E. 베커 지음 ㅣ 최병휘 옮김
'사회공포증(Social Phobia)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자기진술 검사 (0) | 2023.04.12 |
---|---|
인지적 평가법 (0) | 2023.04.12 |
사회공포증 검사 (0) | 2023.04.10 |
사회공포증과 불안 검사 (0) | 2023.04.10 |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및 사회적 공포 척도 (0) | 2023.04.10 |